가티노올

내가 생각하는 고교등급제

Nsarang 2004. 10. 6. 12:12
728x90

 

말도 많고 탈도 많다.

교육정책은 교육부도...대학교도...애들 다니는 고등학교도...

전부 헷갈리게 만들어 놓고 이제는 강남과 비 강남이 학부모들 싸움질 부치고...

정치에...경제 말아먹더니...남북관계까지도 절단 나고.

말아 먹을 꺼 찾아보니...애들 교육정책이던가.

 

나는 강남도....강북도....아닌,

웃기는 아저씨들...수도가 이전된다고 날마다 떠들어대고 돌아다니는 곳.

미친년 치맛자락 올라가듯 땅값만 올라가는 충청도 갯마을.

갯마을 조개 잡던 뻘바닥이 미친놈들 손에 펜션인지 콘도이지 들어서고...

개발은커녕 기어다니는 게발만....돌아다니는 이 곳은...

수도권 옮긴다는   신행정수도, 그곳이 여기서 서울가기보다 배는 더 걸리는데 이곳이 왜 뛰냐~~~

망둥이 뛰니 꼴뚜기까지 뛰어다니는 촌 동네의 학부형에 불과하다.

.

.

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.

고교등급제가 있다는 말....처음 들어보십니까..?

학교 선생님...다 알고있고, 교육부 다 알고있던 내용 아니던가..?

국회의원나리들...국감 한다고...진작에 정책을 바꾸어야죠.

어찌...!

전교1등이 전국30%도 못하는 학교와 전교100등이 전국 10%안에 드는 학교의 1등을 어찌 똑같이 적용해야하나.

골빈 대학 아니면 그리 할까요...?

제대로 공평하지 못한 정책 놓고 떠들면 애들이 웃는다.

애들 놓고 어른들이 싸우고 있으니...어찌 안 웃겠나.

 

실제로,

1학기 연. 고대 떨어진 학생들 서울대가는 학생들 많습니다.

1학기 수시는 바늘구멍보다 좁다고 합니다.

분명 그것은 어제오늘의 이야기는 아니다.

그 만큼 어려우니 말도 탈도 많은 게지요~

수시는 없애버리죠...!

그럼 되는 거 아닌가요..?

 

 

저는....두 녀석을 둔 학부모.

큰 녀석은 수시 떨어지고 정시로....작은 녀석은 1학기 수시로....

말도 탈도 많은 명문사립대에 입학했다.

내가 보내 본 결과로는 확실한 계산이 필요하다.

분명한 것은 강남...특목고의 가산점을 고려해서 지원해야한다는 것이다.

강남의 학교...그리고 특목고가 아니라면 최상위권 석차가 아니면 지원을 포기해야한다는 것이다.

하지만 사람들은 최 상위라면 분명 서울대를 생각한다.

서울대는 1학기 수시가 없으니...서울대가 어려울꺼라는 생각이 들 때만 연. 고대를 지원한다.

그것은 강남권이나 특목고가 가능한 지원이다.

비 강남의 학교에서는 적용될 수 없는 현실인 것이다.

대학에서도 그것을 알고 있으니 그리 뽑을 수밖에는 없을 것이다.

 

이것은 부모로서의 내가 선택해야만 했던  방법이다.

하지만, 이 방법도 2차 3차의 논술이 완벽한 준비가 이루어졌을 때의 이야기이다.

논술이나 필기평가도 서울대보다 더 까다롭다.

서류전형의 합격 후에는 똑같은 조건에서 2~3차례 더 힘든 관문은 아마도 지옥문 같을 것이다.

.

.

서로가 반성해야 한다.

교육정책은 일관성 있고 공정한 방법의 정책을 세워야하고,

학부모님, 학생들은 나에게만 유리한 쪽의 주장만 세우지 말고 내가 가지고 있는 실력으로 상대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.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~~~~~사랑일기~~~~~

728x90